오늘 팩트맨은 학원가에서 시작합니다.<br /><br />매년 입시철이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, 즉 ADHD 치료제가 논란이 됩니다.<br /><br />일부 학부모들 사이에선 '공부 잘하는 약'으로 입소문도 나 있는 약인데요.<br /><br />정말 공부에 도움이 되는지, 건강에 문제는 없는 약인지 따져봅니다.<br /><br />ADHD 치료제가 엉뚱하게도 공부 잘하는 약으로 입소문을 탄 것은 2000년대 초반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당시 미국에서 오남용하는 수험생이 늘어 사회적 문제가 됐는데, 국내에서 모방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서울 강남 3구와 양천구, 노원구 등 소위 학군지에서 처방률이 높았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월별 처방률을 살펴볼까요.<br /><br />전체 환자 처방률은 매월 상승했는데, 중·고교생은 11월쯤 정점을 찍고 떨어졌다가 2, 3월이면 다시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학생들이 수능과 내신 시험을 모두 마친 시기와 겹치는데요.<br /><br />의료계에서조차 의사가 너무 쉽게 처방해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[강재헌 /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]<br />"진료실에서 환자나 환자 보호자의 요구가 처방에도 영향을 안 줄 수는 없잖아요. 그러다 보니까 교육열이 지나치게 높은 지역에선 이런 ADHD 약물 오남용의 발생 위험이 더 높은 게 아닌가."<br /><br />ADHD 치료제의 주성분, 메틸페니데이트라는 마약성 물질인데요.<br /><br />ADHD 환자가 이 약물을 복용하고 차분해진다는 사실이 알려지자, 일반인들이 집중력 향상을 위해 오남용하게 된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의존성이 있어서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고요. 전문의약품이라 의사 처방도 필요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너무 많이 처방되다 보니, SNS에서 불법 거래되는 지경까지 이른 것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ADHD 치료제가 학습에 도움을 주는지 입증되지 않았다고 말하는데요.<br /><br />오히려 불면증과 우울증, 환각 증상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경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팩트맨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연출·편집 : 박혜연 PD<br />구성 : 임지혜 작가<br />그래픽 : 천민선 유건수 디자이너<br />영상취재 : 한일웅<br /><br />자료출처 : 박건우,<br />"주의력결핍/과잉행동장애(ADHD)의 진단과 처방<br />양상" (석사학위,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, 2016)